한쇼로 만든 PPTX, 왜 깨질까?
한쇼(웹 기반 한컴독스)는 **폰트 포함 저장 기능이 없기 때문에**, 다운로드된 PPTX에는 폰트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습니다. 발표용 PC에 해당 글꼴이 없으면 **강제 대체**되어 글씨체·도형·레이아웃 전체가 깨질 수 있어요
📌 웹 기반 한쇼의 한계와 폰트 포함 기능 부재
- 웹 기반이라 **폰트 파일(.ttf/.otf)**이 PPTX에 포함되지 않음
- 다운로드 후 **발표 PC 글꼴 설치 여부에 따라 렌더링 오류 발생
- 따라서 글씨체·도형·레이아웃이 모두 깨지는 경우가 많음
✅ PPT 글씨체·도형 깨짐 해결법 4가지
- 로컬 한쇼 설치 후 .pptx(확장자)저장하기
- MS 파워포인트의 ‘글꼴 포함’ 기능 활용
- 발표용 PC에 한컴 글꼴 직접 설치하기
- PDF로 저장해 안정성 확보하기
1. 로컬 한쇼 설치 후 저장하기
한쇼 웹이 아닌, PC에 설치한 **한컴오피스 한쇼 프로그램**을 통해 ‘다른 이름으로 저장’ → .pptx 선택 후 저장하세요. 이렇게 하면 **폰트 누락 없이** 파일 생성이 가능해요
2. MS 파워포인트의 '글꼴 포함' 기능 활용
- PPTX를 파워포인트에서 열기
- 파일 → 옵션 → 저장 → **'파일의 글꼴 포함' 체크**
- 「사용된 문자만」or「모든 문자 포함」 선택
이 기능은 PPTX 파일 내에 폰트 정보를 포함하여 **다른 PC에서도 동일하게 보이게** 해줍니다
3. 발표용 PC에 한컴 글꼴 직접 설치하기
‘폰트 포함’이 어렵다면, 발표할 PC에 사용하는 한쇼 폰트를 직접 설치하세요. USB에 글꼴 파일(TTF/OTF)을 담아 현장에 도착한 후 설치하는 방법이 가장 안정적입니다
4. PDF로 저장해 안정성 확보하기
PPTX 대신 **PDF**로 저장하면 글꼴·도형·레이아웃이 모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됩니다. 수정은 불가능하나 발표 시 **깨짐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어요 :
깨지지 않는 PPT 만들기 위한 실전 팁
✅ 작업 단계별 확인 포인트
- 작성 완료 후 → 로컬 한쇼/PPT에서 ‘다른 이름으로 저장’
- '글꼴 포함’ 체크 또는 폰트 직접 설치
- PDF 출력 시 **레이아웃 이상 여부** 최종 확인
🎤 발표 전 테스트 중요성 강조
발표 전 반드시 해당 PC나 모니터에서 **실제 파일을 열어 테스트**하세요. 예기치 않은 폰트 문제는 미리 확인하면 100% 방지됩니다.
📊 간략 비교표로 방법 정리
방법 | 장점 | 단점 |
---|---|---|
로컬 한쇼 저장 | 폰트 누락 없이 동일하게 보임 | 프로그램 설치 필요 |
글꼴 포함 저장 | 다른 PC에서도 글꼴 유지 | 파일 용량 증가 |
폰트 직접 설치 | 안정적인 현장 대응 가능 | 사전 준비 필요 |
PDF 저장 | 깨짐 걱정 없음 | 수정 불가, 발표용 전용 |
🎯 상황별 추천 솔루션 안내
- 수정이 필요 없는 발표용 파일 → PDF 저장
- 다른 사람과 공유하며 수정할 예정 → 글꼴 포함 저장
- 현장에서 PC 제어 가능한 경우 → 폰트 USB 설치
- 한쇼 웹 사용하는 경우 → 로컬 한쇼로 PPTX 저장 후 '글꼴 포함’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대상 및 신청 방법 총정리 (2025년 최신)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대상 및 신청 방법 총정리 (2025년 최신)
고속도로를 자주 이용하시는 분이라면 통행료도 결코 적은 비용이 아니죠. 오늘은 경차, 장애인, 국가유공자, 친환경차, 화물차 등을 위한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제도와 신청 방법을 한눈에 보
infozip.co.kr
아이폰 충전 중 화재 위험! 절대 피해야 할 충전 습관 5가지
아이폰 충전 중 화재 위험! 절대 피해야 할 충전 습관 5가지
요즘 스마트폰 없이는 일상이 불가능하죠. 그런데 아이폰 충전 중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최근 아이폰 충전기 사용 중 베개 밑에 스마트폰을 두고 자다 화재가 발생한 사
infozip.co.kr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방법 총정리: 금액부터 사용처까지 한눈에!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방법 총정리: 금액부터 사용처까지 한눈에!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총 13.9조원의 예산이 투입된 대국민 소비 지원 정책입니다. 물가 상승과 경기 침체 속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최대 55만원까지 지원됩니다. 📌 누
infozi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