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비판적 분석] 퇴직금 연금 의무화, 정말 노후 보장을 위한 제도일까?

by 차부자 2025. 6. 27.
반응형

 

퇴직금 연금 의무화, 표면적으로는 **“근로자의 노후 소득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라고 소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국가 주도의 자산 통제 강화노동시장 왜곡이라는 큰 그림이 숨겨져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퇴직연금 의무화 제도의 이면에 숨은 문제점과 구조적 리스크를 냉철하게 분석해봅니다.


❗ 퇴직금 연금 의무화, 그 ‘명분’과 ‘현실’

✅ 제도 추진 명분

  • 근로자의 노후소득 보장
  • 일시금 대신 연금 수령으로 안정적인 생활 확보
  • 기업 파산 시에도 안정적인 퇴직금 수령 보장

⚠ 실제 구조

  • 퇴직금은 개인의 자산인데, 국가가 강제로 연금 형태로 운영
  • 퇴직연금공단 설립을 통한 자산 중앙 집중화
  • 연금 수령 시기도, 운용 방식도 개인이 결정 불가

📉 구조적 문제 1: 고용시장 왜곡

1. 기업의 부담 가중

  • 3개월 이상 근로자에게 퇴직연금 의무 지급 → 단기 고용자도 비용 발생
  • 특히 영세사업장, 자영업자에 막대한 인건비 부담
  • 정규직보다 외주·계약직 중심의 고용 구조 심화

2. 정규직 채용 기피 현상

“3개월만 일해도 퇴직금 줘야 한다면, 누굴 믿고 정직원으로 고용하겠나?”
→ 기업 입장에서 ‘장기 고용’이 리스크로 전환
청년층 취업 시장 축소 가능성


🚨 구조적 문제 2: 근로자의 책임감 저하

  • 퇴직금이 보장되니 짧게 일하고 퇴사하는 패턴 증가 가능성
  • 반복 퇴사 후 수령 → 퇴직급여 ‘남용’ 사례 발생 우려
  • 기업 입장에서 인력 양성과 충성도 저하

📌 근로자의 노후 안정은커녕, 일터 이동성만 높아지는 역효과 발생 가능


🏦 구조적 문제 3: 국가의 자산 통제 강화

📊 퇴직연금공단 중심 구조

  • 수백조 원 규모의 퇴직금 적립금, 공공기관이 운용
  • 국민연금처럼 수익률은 낮고 운용의 유연성 제한
  • 개인은 본인의 자산에 대해 수익률도, 투자 대상도 통제받는 구조

⚠ 자산주권 상실

  • 퇴직금이라는 개인 자산의 본질 훼손
  • “내 돈인데도 내가 쓰지 못하는 시대” 도래

❌ 제도적 허점: 전면 의무화가 정답인가?

  • 일부 고소득 근로자, 자산가들은 오히려 연금화가 세금 손해
  • IRP, 개인연금 등 자율적 자산 운용 수단이 있는데도 강제 제도화는 불합리

🧠 결론: 이건 복지정책이 아닌, 구조 개편이다

퇴직금 연금 의무화는 단순한 복지 확대가 아닙니다.
국가가 개인의 자산을 통제하고, 고용시장의 유연성을 억제하는 제도 구조 개편입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3개월만 일해도 퇴직연금? 2025 퇴직금 개편 핵심 요약

 

3개월만 일해도 퇴직연금? 2025 퇴직금 개편 핵심 요약

2025년, ‘퇴직할 때 받는 개인이 운용할 수 있는 목돈’이었던 퇴직금이 이제는 국가가 관리하는 ‘연금’ 형태로 받는 시대가 열리게 됩니다. 지금까지의 제도와 무엇이 달라지는지, 그리고 이

infozip.co.kr

 

 2025 소비쿠폰 현금지원 정책의 진실과 ‘가난한 아빠’의 사고방식

 

 

카리나에 대해 성폭력 발언한 이재명 아들 이*호 벌금 5백만원 선고

 

카리나에 대해 성폭력 발언한 이재명 아들 이*호 벌금 5백만원 선고

아래 사진은 가로세로연구소 유튜브에서 확인한 이재명 아들 이*호의 댓글 내용입니다. 아래 사진은 가로세로연구소에서 이씨를 고발하는 모습이 담겼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infozip.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