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세제 개편으로 종합소득세 기준이 달라졌습니다.
프리랜서, 부업자, 투자자처럼 근로 외 소득이 있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할 핵심 내용입니다.
특히 세율 구간, 소득공제 한도, 간편신고 기능 강화 등 실생활에 영향을 주는 변화가 포함됐습니다.
이번 글에서 핵심만 빠르게 정리해드립니다.
부업·프리랜서라면 지금 꼭 확인하세요.
🧾 1. 종합소득세란?
종합소득세는 근로·사업·이자·배당·기타소득 등 다양한 소득을 합산해 누진세율로 과세하는 제도입니다.
프리랜서, N잡러, 배당소득자, 유튜버, 연금수령자 모두 해당되며, 근로소득 외 소득이 있다면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
📅 2. 신고 대상과 기간
- ✅ 신고 대상: 프리랜서, 부업 수익자, 배당/이자/임대/기타소득 보유자
- 🗓️ 신고 기간: 매년 5월 1일 ~ 5월 31일
- 🧾 지방소득세도 동일 기간 내 별도 신고 필요
📊 3. 2025년 종합소득세율
과세표준 (만원) | 세율 | 누진공제 (만원) |
---|---|---|
~1,400 | 6% | 0 |
1,400~5,000 | 15% | 126 |
5,000~8,800 | 24% | 576 |
8,800~15,000 | 35% | 1,490 |
15,000~30,000 | 38% | 1,940 |
30,000~50,000 | 40% | 2,540 |
50,000~100,000 | 42% | 3,540 |
100,000 초과 | 45% | 6,540 |
🔄 4. 2025년 주요 개정 내용
- ✅ 6% 세율 구간 상향: 1,200 → 1,400만원으로 확대
- ✅ 신용카드 소득공제 한도: 300만원 → 350만원 상향 (자녀 수 반영)
- ✅ 프리랜서·부업자 간편신고 기능 강화: 홈택스 사전채움 기능 등 확대
- ✅ 연금·배당소득 포함 대상 정비
🛠 5. 실전 절세 포인트
- 필요경비·인적공제·신용카드 공제 꼼꼼히 챙기기
- 3.3% 원천징수된 프리랜서 소득, 환급 가능성 큼
- 기타소득도 300만원 초과 시 합산 신고 대상
- 소득금액증명, 전자명세서 준비 필요
✅ 정부 공식자료 확인
📎 결론 요약
- 🏷️ 부업자, 프리랜서 모두 종소세 대상
- 📅 5월 내 신고 필수 (홈택스 또는 세무사 통해 가능)
- 💡 절세 방법 숙지하고, 소득 누락 없이 신고하는 게 핵심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FTA 혜택 끝? 한미 관세 협상과 15% 관세, 한국의 손익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