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건보료 폭탄? 배당소득 늘면 생기는 뜻밖의 부담 총정리

by 차부자 2025. 8. 1.
반응형

 

2025년 세제개편으로 배당소득에 분리과세 제도가 도입되며 세금 부담이 다소 완화됩니다. 하지만

건강보험료는 여전히 '종합소득 기준'으로 부과

되기 때문에, 예상보다 더 많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

✅ 배당·이자소득이 늘면 건보료도 오른다

  • 지역가입자는 소득을 기준으로 건보료를 부과받습니다.
  • 배당·이자소득도 소득으로 포함되며, 과세 여부와 무관하게 건보료 부과 기준에 적용됩니다.
  • 2천만 원 이하 배당소득이라도 건보료에는 영향!

✅ [예시] 배당소득 3천만 원 발생 시

구분 내용
종합소득세 분리과세 선택 시 20% (6백만 원)
건강보험료 약 27만 원/월 (연 324만 원 이상)

즉, 세금보다 건보료가 더 부담되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직장인도 예외 아님

  • 직장가입자라도 기타소득이 많으면 지역가입자로 간주
  • 이자·배당·임대소득이 기준 초과 시 건보료 인상

✅ 건보료가 올라가는 기준은?

  • 지역가입자: 연간 금융소득 1천만 원 초과 시 → 건보료 급등
  • 직장가입자: 연간 금융소득 3,400만 원 초과 시 → 피부양자 자격 박탈 가능

✅ 세금은 줄었는데, 왜 부담은 안 줄까요?

정부는 2025년 세제개편을 통해 배당소득과 이자소득에 대해 분리과세 선택권을 확대하고, 최고세율도 기존 종합과세(최대 49.5%) 대비 낮춘 20~35% 구간으로 개편했습니다. 이로 인해 세금 부담은 일부 완화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건강보험료는 국세청 세금과 별개로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자체 산정하기 때문에, 분리과세를 선택하더라도 건강보험료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즉, 배당·이자소득이 늘면 보험료는 무조건 올라갑니다.

예를 들어:

  • 분리과세를 선택해 세금은 20%만 내도
  • 해당 소득이 연 1,000만 원을 넘으면 지역가입자는 매달 수만 원의 건보료 인상
  • 직장가입자라도 3,400만 원 초과 시 피부양자 자격 상실 위험

결국 실질 부담은 “세금 + 건강보험료”의 총합으로 판단해야 하며, 분리과세가 만능 해법은 아니라는 점을 반드시 인지해야 합니다.

📌 결론 요약

  • 분리과세 선택해도 건보료는 종합소득 기준 그대로
  • 고배당 ETF 투자자, 은퇴자, 자산가 주의 필요
  • 실질 부담 줄이려면 세금+건보료를 함께 고려해야 함

🔗 관련 정보 보기

 

기획재정부

2025년 세제개편안 발표

www.moef.go.kr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2025년 7월 파월의 금리 동결, 정치적 의도는 없었을까?

- 2025년 종합소득세 기준 총정리! 부업·프리랜서라면 꼭 알아야 합니다

 - 2026 세제 개편, 외국인 무세 주식 투자? 형평성 논란 총정리

반응형